-

-
- 심준영 교수
- 직책
- 기획처장, 평생교육원 원장, 뇌건강전공 교수
- 전문분야
- 뇌파 및 생체신호연구, 뇌건강과 운동, 운동처방
- 연구실
- 교수연구실321호
- 전화
- 041-529-2665
- 이메일
- simjy@ube.ac.kr
- 홈페이지
- https://brainedu.ube.ac.kr
- 학력 및 경력
-
- 조선대학교대학원 이학박사(체육학)
- (현)한국뇌과학연구원 연구위원
- (현)국제뇌교육학회 운영위원
- (전)뇌교육연구소 소장
- (전)뇌교육원격교육연수원 원장
- (전)광주예술대학교 교수
- 논문
-
- 이채영, 심준영(2024). 라벤더 향기 흡입에 의한 입면기 동안 전두엽과 중심엽의 뇌파 변화.한국웰니스학회지, 19권4호
- 이봉준, 심준영(2024). 20대 직업군인의 특성불안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뇌파지표의 활용성 탐색. 한국웰니스학회지, 19권 2호.
- 강민경, 심준영(2023). 아동의 디지털중독과 자기조절력 수준에 따른 심박변이도 지표의 활용성 탐색. 한국웰니스학회지, 18(4), 89-95.
- 이봉준, 심준영(2023). 해군 20대 부사관의 수면시간, 스트레스 수준과 맥파 기반 심박변이도 관계. 한국웰니스학회지, 18(3), 127-133.
- 추향임, 심준영(2023). 노인의 전두엽 및 후두엽 뇌파 지표와 주관적기억감퇴의 관계, 한국웰니스학회지, 18(2), 71-77.
- 심준영(2022). 노인의 Time Up and Go Test와 SMMSE-DS 및 뇌파 지표의 관계. 한국웰니스학회지, 17(4), 381-387.
- 임정옥, 심준영(2022). 두개천골요법 처치 시 자율신경계와 알파리듬 지표의 변화. 한국웰니스학회지, 17(2), 191-197.
- 노병일, 심준영(2021). 무예도보통지 본국검보 조천세의 좌쌍수 파지법과 환집 기법 고찰. 무예연구, 15(4), 59-80.
- 심준영(2021). 노인의 악력, 우울, 주관적기억감퇴 및 뇌파의 인지감퇴 지표와의 관계. 한국웰니스학회지, 16(4), 255-261.
- 이채영, 심준영(2021). 수면유도를 위한 라벤더와 클라이세이지 에센셜오일 흡입이 중년여성의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. 한국웰니스학회지, 16(3), 139-146.
- 임정옥, 심준영(2020). 두개천골요법 중 제4뇌실 압박 시 심박변이도와 전두엽 뇌파의 변화. 한국웰니스학회지, 15(4), 803-815.
- 이경은, 심준영(2020). 중년여성의 불안, 스트레스 수준과 Alpha 고유리듬 뇌파 지표와의 관계. 한국웰니스학회지, 15(3), 209-220.
- 심준영(2020). 노년기 알파 고유리듬 진폭, 비대칭 및 평균 주파수의 뇌건강 지표로써 활용 가능성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, 21(2), 124-132.
- 박구원, 신성권, 심준영(2019). 최면유도 상태에서 뇌파 특성과 최면수사의 활용. 과학수사학회지, 13(4), 255-264.
- 고상인, 심준영(2019).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향기흡입이 인지과제 수행동안 전두엽 뇌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. 한국웰니스학회지, 14(4), 269-282.
- 심준영(2019). 노년기 인지기능 및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써 Alpha 고유리듬과 뇌파 및 HRV 지표와의 관계 연구. 감성과학, 22(3), 21-34.
- 김은애, 임정옥, 심준영(2019). 두개천골요법 CV-4 기법 진행 시 심박변이도의 변화. 한국웰니 학회지, 14(3), 455-464
- 이철규, 심준영(2019). 동서양 양자역학에 내포된 교육학적 의미와 교수-학습방법 탐색. 선도문화, 26권, 303-327.
- 심준영 외 4인(2018). 국학기공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심박변이도와 혈중 세로토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. 노인복지연구, 73(1), 163-186.
- 심준영 외 3인(2016). 노인의 건강상태 측정 및 평가를 위한 디지털화된 도구의 접근방향. 한국노년학연구, 25, 153-158.
- 임창현, 심준영(2016). 코칭의 GROW기법 진행 시 두뇌 영역별 뇌파 변화및 특성 연구. 코칭능력개발지, 18(3), 65-75.
- 강영희, 임영자, 심준영(2016). 뇌체조와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아의 사회적기술 및 뇌파에 의한 집중력과 인지반응속도에 미치는 효과. 아동교육, 25(3), 95-116.
- 김진선, 심준영(2015).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뇌선호도와 뇌파에 의한 학습능력의 특성 및 관계. 아동학회지, 36(6), 85-100.
- 노병일, 임영자, 심준영(2015). 전통 진검무예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사선 내려베기 시 두뇌 영역별 뇌파특성의 변화. 대한무도학회지, 17(3), 71-85.
- 구영회, 심준영(2015). 선요가와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스트레스, 우울 및 자율신경의 변화. 선도문화, 19, 394-439.
- 김종상, 심준영(2015). 차크라 명상 시 자율신경 및 두뇌 영역별 뇌파 특성의 변화. 선도문화,18, 279-326.
- 심준영(2014). 기공체조 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금연자기효능감, 스트레스 및 뇌파 집중지표에 미치는 영향. 청소년시설환경, 12(4), 163-174.
- 박홍근, 심준영(2014). 인문계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수준별다중지능적성,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. 뇌교육연구, 14, 25-47.
- 임영자, 심준영(2014). 기공체조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및 두뇌 영역별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. 선도문화, 17, 337-379.
- 신성권, 심준영(2013). Pink Noise가 개인별 특성에 따라 뇌파 집중지표에 미치는 영향과 다중지능과의 관계. 감성과학, 16(4), 481-492.
- 김순하, 심준영(2013). 뇌체조와 음악줄넘기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자율신경의 변화. 아동교육, 22(3), 53-68.
- 심준영(2012). 기공숙련자와 비숙련자의 기공수련 시 두뇌 영역별 뇌파특성 비교. 대한무도학회지,14(3), 189-201.
- 김순하, 심준영(2012). 뇌체조와 음악줄넘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공격성에 미치는 영향. 뇌교육연구, 10, 1~24.
- 신성권, 심준영(2012). 1/f 파동음 청각자극이 개인 특성에 따른 성인의 집중력과 두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. 뇌교육연구, 10, 51-73.
- 고병진, 심준영(2012). 청소년 뇌발달 프로그램이 집중력 수준에 따른 두뇌 영역별 뇌파 변화와 정신력에 미치는 영향. 청소년시설환경, 10(2), 3-17.
- 조성제, 유성모, 심준영(2012). 유아 뇌교육 및 뉴로피드백 훈련이 사고력과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. 생태유아교육연구, 11(1), 67-94.
- 임영자, 심준영(2012). 기공수련자의 수련 기간별 심박변이도 특성과 기분상태의 비교 분석. 선도문화, 12, 173-216.
- 이수경, 심준영(2011). 뇌파진동 수련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음악감상 활동이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. 뇌교육연구, 8, 1-26.
- 조성제, 심준영(2011). 유아 뇌발달 훈련에 따른 뇌기능, 사고력 및 다중지능간의 관련성 연구. 뇌교육연구, 7, 1~32.
- 심준영(2011). 장생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준거. 뇌교육연구, 특별호, 93-117.
- 심준영 외(2010). 뇌교육 동기유발 활동이 중학생의 집중력과 뇌전위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. 뇌교육연구, 5, 27-52.
- 고병진, 심준영(2009). 청소년의 자기조절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발달프로그램 효과. 청소년학연구, 16(9), 1-29.
- 성인제, 심준영(2009). 뇌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집중력 및 전두부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. 아동교육, 18(3), 19-36.
- 심준영외 3인(2008). 무용학습과 자극에 따른 뇌 영역별 상호상관도 비교. 스포츠과학연구, 19, 7-22.
- 심준영(2008). 장생보법 훈련에 따른 자율신경 활성도 및 뇌 영역간 상호상관관계의 변화. 뇌교육연구, 2, 115-139.
- 심준영외 3인(2007). 장생보법 훈련이 신체증상 지각 및 뇌 영역별 활성에 미치는 영향. 한국스포츠리서치, 18(4), 413-424.
- 심준영(2007). 뇌호흡 수련 여성노인의 생활만족 및 도형구분과제 수행 시 활성뇌파의 변화.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, 18(2), 31-44.
- 심준영, 정혜선(2007). 무용학습이 이미지 상상 동안 좌우뇌 활성상태에 미치는 효과. 한국스포츠리서치, 18(2), 127-138.
- 심준영, 김용호(2006). 뇌호흡 수련이 여성 노인의 뇌파와 우울상태에 미치는 효과.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, 17(4), 117-134.
- 심준영외 2인(2005). 무용학습이 시각 및 청각적 자극과 이미지 상상 동안 뇌파와 POMS 변화에 미치는 효과.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, 16(3), 1~17.
- 심준영(2005). 태권도 수련 아동의 연속도형과제 수행 시 집중력에 따른 좌우뇌 활성도 변화. 한국스포츠리서치, 16(4), 907-916.
- 심준영외 2인(2005).무용수의 심상자극 동안 두뇌 영역별 뇌파 활성도 변화. 한국스포츠리서치, 16(2), 293-300.
- 심준영, 조동진(2005). 10주간 EEG Biofeedback 훈련에 따른 뇌파 영역별 상대적 활성도 비교. 한국스포츠리서치, 16(2), 421-430.
- 심준영(2004). 뇌파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따른 사격선수의 경쟁상태불안과 경기력 및 전두부의 뇌파 변화.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, 15(2), 75-92.
- 심준영(2004). 뇌파 자기조절 훈련에 따른 불안과 뇌전위의 변화. 한국체육학회지, 43(3), 207-217.
- 심준영(2004). 기공 명상훈련이 대학 남자 배구선수의 자아존중감, 심리적 행복감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. 한국사회체육학회지, 21, 517-527.
- 심준영(2004). 직장인의 스트레스 대처훈련에 따른 스트레스량(BEPSI)과 뇌전위 활성도 분석. 한국스포츠리서치, 15(2), 1511-1524.
- 심준영(2004). 단학기공 훈련이 일상적 스트레스(DSI)의 인지와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. 한국스포츠리서치, 15(2), 1229-1240.
- 심준영(2004). EEG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따른 주의유형 변화. 한국스포츠리서치, 15(1), 1281-1290.
- 심준영(2004). 스트레스 완화 훈련과 자극에 따른 뇌 영역별 활성화 비교.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, 15(1), 129-146.
- 심준영(2004). 신체적, 인지적 훈련에 따른 뇌파와 기분상태 변화. 한국스포츠리서치, 15(1), 427-440.
- 심준영외 3인(2004). 뇌호흡 명상훈련에 따른 프로농구선수의 기분상태 및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. 한국체육학회지, 43(1), 153-161.
- 심준영(2003). 도인체조와 명상 프로그램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 반응 분석. 한국스포츠리서치, 14(6), 1463-1474.
- 심준영, 조동진(2003). 초등학생의 뇌호흡 명상훈련에 따른 자연살해세포와 B림프구의 면역반응 분석. 한국스포츠리서치, 14(4), 1391-1404.
- 심준영외 3인(2003). 중장년층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뇌호흡 프로그램 적용 효과. 한국스포츠리서치, 14(4), 1341-1354.
- 심준영, 정명수(2003). 뇌호흡 훈련이 백혈구 아형세포에 미치는 영향. 한국사회체육학회지, 19(2), 1421-1433.
- 심준영외 2인(2003). 12주간 뇌호흡 명상 프로그램에 따른 세포성 면역 반응 분석. 한국체육학회지, 42(1), 121-133.
- 학술연구
-
- 2020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(2020.07~2021.06). 노인의 우울, 인지기능 감퇴에 따른 근력 및 정량화 뇌파지표와의 관계. 연구책임/한국연구재단(교육부)
- 2017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(2017.07~2018.06). 노년기 정량화 뇌파의 고유리듬과 좌‧우뇌 균형이 인지기능, 우울, 신체균형, 심박변이도와의 관련성 연구. 연구책임/한국연구재단(교육부)
- 2015 학제간융합연구 지원사업 씨앗형(2015.09~2016.08). EEG, HRV, 주관적 평가척도를 통합한 노인 인지․정신건강 평가도구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. 연구책임/한국연구재단(교육부)
- 2014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 지원사업(2014.05~2015.04). 선요가 수련이 여성 노인의 스트레스, 우울 및 자율신경,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. 연구책임/한국연구재단(교육부)
- 2010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 지원사업(2010.05~2013.04). 뇌기능 활성을 위한 기공체조 프로그램 개발 및 생리심리적 효과연구. 연구책임/한국연구재단(교육부)
- 2007 학문후속세대지원 학술연구교수 지원사업(2007.09~2009.02). 뇌기반 학습과학에 기초한 청소년 뇌발달 프로그램 개발 및 생리심리적 효과. 연구책임/한국학술진흥재단(교육부)
- 기타
-
- 교내 정책연구(2013.11~2014.05). 뇌교육프로그램 표준화 연구. 연구책임/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
- 교내 정책연구(2010.05~2010.12). 장생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. 공동/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
- 산학협동연구(2006~2007). 장생보법 연구. 연구책임/한국뇌과학연구원,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
- 산학협동연구(2003~2004). 뇌호흡 프로그램 효과 연구.연구책임/한국뇌과학연구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