뇌 기능 및 특성에 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뇌기능 및 건강 상태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, 그 평가에 기반을 둔 맞춤형 처방, 중재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는 뇌건강 현장 전문가 양성
건강한 뇌기능 관리 및 처방을 위하여 ‘진단/평가 ‒ 개입/훈련/처방 ‒ 효과검증 ‒ 예방 및 활용’ 사이클의 체계적 연구 및 활용 능력을 배양
과학적 측정수단: 주관적 평가척도(질문지)와 뇌파(EEG) 및 심전도(ECG) 등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한 객관적 평가척도를 통한 접근
뇌질환 치료의 목적이 아니라 예방적 측면에서 건강한 뇌기능 유지 및 관리에 목적
뇌건강 및 코칭 관련 센터, 심리상담 관련 센터, 뇌파 및 뉴로피드백 관련 센터 등 두뇌관리 및 다양한 뇌건강 관련 센터 운영 가능
대학원의 부설연구소인 뇌교육연구소, 두뇌활용연구소, 항노화장생연구소 등의 학술 활동에 참여하면서 산관학 협력 연구 및 사업 등을 모색하여 공익에 기여
학교나 관공서, 기업체, 사회복지단체, 노인관련시설 및 사업에 참여하거나 전문 연구원 및 학자로 활동 가능
구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
---|---|---|
공통필수 | 뇌교육원론, 뇌교육트레이닝실습, 지구경영학원론 중 1과목 선택 | |
석.박사 필수 | 기초뇌과학, 뇌건강과운동, 뇌파연구의기초1, 2 QEEG와뉴로피드백, 양적연구조사방법론 통합적삶과건강, 뇌영양학, 해부와생리기초 임상통계학, 뇌건강연구세미나1,2, 건강과운동처방 신체훈련방법, 뇌기반상담심리학* |
신체심리학, 임상뉴로피드백1, 2 뇌파분석및평가 1, 2, 뇌파연구세미나 1, 2 에너지테라피 1,2, 심신치유기제연구 질적조사연구방법론, 브레인코칭심리 1, 2 브레인트레이닝기초, 브레이트레이닝실습 |
박사필수 | 뇌건강프로그램개발과평가1, 2 생체신호측정및활용1, 2, 고급임상통계학 QEEG임상연구1, 2, 뇌생리학 정신신경면역학, 영양치유학 생체기능조절학, 근거기반연구세미나 1, 2 뉴로사이코테라피*, 감각운동심리치료* |
기초지식 | 개입/훈련/처방 | 활용/예방 |
---|---|---|
기초뇌과학 뇌건강과운동 뇌파연구의기초1, 2 양적연구조사방법론 질적조사연구방법론 뇌영양학, 영양치유학 해부와생리기초 정신신경면역학 생체기능조절학 브레인트레이닝기초 |
신체훈련방법 건강과운동처방 QEEG와뉴로피드백 임상뉴로피드백1, 2 뇌건강프로그램개발과평가1 에너지테라피1 뇌건강연구세미나1 브레인코칭심리1 감각운동심리치료 뉴로사이코테라피 |
뇌파연구세미나1 생체신호측정및활용2 뇌건강연구세미나1 브레인코칭심리2 에너지테라피2 브레인트레이닝실습 뇌기반상담심리학 |
진단/평가 | 효과검증 | 공필 |
QEEG임상연구1, 2 뇌파분석과평가1, 2 생체신호측정및활용1 뇌파연구세미나 1 근거기반연구세미나 1 뇌건강프로그램개발과평가2 |
임상통계학 고급임상통계학 근거기반연구세미나2 뇌건강연구세미나2 뇌파연구세미나2 |
뇌교육원론 뇌교육트레이닝실습 지구경영학원론 |
진단/평가 전문가 Track |
개입/훈련/처방 전문가 Track |
효과검증 전문가 Track |
활용/예방 전문가 Track |
통합적 전문가 Track |
|
---|---|---|---|---|---|
기초지식 | 3~5과목 (3~6과목) |
3~5과목 (3~6과목) |
3~5과목 (3~6과목) |
3~5과목 (3~6과목) |
2~3과목 (3~4과목) |
진단/평가 | 3~5과목 (3~6과목) |
1~3과목 | 1~3과목 | 1~3과목 | 2~3과목 (3~4과목) |
개입/훈련/처방 | 1~3과목 | 3~5과목 (3~6과목) |
1~3과목 | 1~3과목 | 2~3과목 (3~4과목) |
효과검증 | 1~3과목 | 1~3과목 | 3~5과목 (3~6과목) |
1~3과목 | 2~3과목 (3~4과목) |
활용/예방 | 1~3과목 | 1~3과목 | 1~3과목 | 3~5과목 (3~6과목) |
2~3과목 (3~4과목) |
* 괄호는 박사과정 과목 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