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인공지능 시대 필요한 두뇌 계발 및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
2. 뇌과학, 신경과학, 철학, 심리학, 코칭학, 교육학 등을 융합할 수 있는 뇌교육인성의 기초 소양 역량
3. 강의, 컨설팅, 코칭, 상담, 심리치료 등 브레인트레이닝 전문 역량 함양
뇌활용 행복교육 발전계획
구분 | 특징 |
---|---|
신체뇌 | 놀이, 게임, 뇌체조 등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한 두뇌기능 활성화 |
정서뇌 | 자신과 타인의 감정, 스트레스, 불안 등 정서 표현 및 조절 능력 발달 |
동기뇌 | 자기 수행에 대한 기대, 지각된 효능감 등 목적의식 향상 |
인지뇌 | 환경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학습력 향상 |
생애주기별 브레인트레이닝 및 인성교육 대상 : 영유아, 아동청소년, 성인, 노인 등
뇌교육인성 영역 : 자아존중감, 공감소통, 세계시민교육, 멘탈헬스, 인성코칭상담 등
뇌교육인성 역량 : 진단 및 평가, 예방 및 처방, 지도 및 교육 등
구분 / 전공 | 과목 | 진단/평가 역량 | 예방/처방 역량 | 지도/교육 역량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필수 | 석박필 | 뇌파연구의 기초 | ○ | ||
QEEG와 뉴로피드백 | ○ | ||||
인지기능훈련법 | ○ | ||||
두뇌훈련의 이론과 실제 | ○ | ||||
뇌교육과 명상 | ○ | ||||
뇌교육과 창의성 | ○ | ||||
뇌교육 체험 연구 | ○ | ||||
뇌교육 교수학습방법론 | ○ | ||||
뇌교육 내러티브연구 | ○ | ||||
감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| ○ | ||||
뇌과학과 행복 | ○ | ||||
뇌활용 행복교육 체험 실습 | ○ | ||||
뇌교육인성 프로그램의 이해 | ○ | ||||
뇌기반 감정코칭 | ○ | ||||
두뇌심리코칭 | ○ | ||||
뇌기반 심리치유와 명상 | ○ | ||||
뇌기반 감각통합치유 | ○ | ||||
인성교육과 문제행동 | ○ | ||||
뇌교육 프로그램 체험실습 | |||||
뇌기반 통합심신건강론 | ○ | ||||
뇌교육상담 프로그램의 실제 | ○ | ||||
뇌교육과 체험형 인성교육 | ○ | ||||
뇌교육인성과 매체의 이해 |
○ | ||||
박필 | 교육신경과학 프로그램 개발 연구 | ○ | |||
창의인성역량 개발 | ○ | ||||
질적연구와 심층면담 | ○ | ○ | |||
역량강화 실행연구 | ○ |